Spring 4

Spring 기본 Bean조회하는 법 빈 조회 정리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 된 빈을 조회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Appconfig.class어노테이션 기반 config클래스 위와 같이 스프링 컨테이너 객체를 생성해 줍니다. 1.모든 빈 조회 string[] beanDefinitionNames = ac.getBeanDefinitionNames(); for (String beanDefinitionName : beanDefinitionNames) { Object bean = ac.getBean(beanDefinitionName); } 위와 같이 getBeanDefinitionNam..

java 2022.12.28

Spring ApplicationContext? 스프링 컨테이너란?

ApplicationContext를 스프링 컨테이너라고 칭합니다. beanFactory도 있지만 사용을 잘안하기에 ApplicationContext를 주로 스프링 컨테이너라고 합니다. 여기서 스프링 컨테이너는 자바의 객체들을 관리하는 공간 ApplicationContext는 인터페이스이므로 다형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프링 컨테이너의 생성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애노테이션 기반 생성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Config.class); 위의 코드는 애노테이션 기반의 자바 클래스로 컨테이너를 생성하는 방식이며 이외에도 XML이나 다른 방식으로 생성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스프링 컨테이너의..

java 2022.12.23

Spring boot devtools 사용법 automatic restart 변경부분 자동 적용하기

spring boot devtools 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 해볼 것입니다. spring boot devtools 라는 라이브러리는 spring boot 환경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한 기능등을 제공하는데 그중에서 수정한 파일 하나만 컴파일해도 적용되는 AUTOMATIC RESTART 기능을 사용해 보겠습니다. 라이브러리 적용법 1.build.gradle에 아래 항목 입력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2.gradle 버튼 클릭 3.기존의 소스 실행 4. text를 안녕하세요 -> 안녕하세yo로 변경하면 기존의 소스에서는 이미 실행시킨 서버를 죽이고 다시 빌드를 해야 하지만 devtools를 사용하면 그 과정 없이 수정된 ..

java 2022.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