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est.js 4

NestJS Swagger JWT 인증 설정 방법 | 전역 보안 적용 가이드

Nest.js에서 스웨거를 사용할 때 JWT토큰을 사용하여 인증 인가를 구현하고 테스트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다른 프레임워크나 언어에서도 되는것 처럼 Nest.js 환경에서도 해당 기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아래와 같이 공식문서에도 나와 있는데 이 토큰을 어떻게 스웨거 문서에서도 전달하고 테스트하는지 같이 설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https://docs.nestjs.com/openapi/security?utm_source=chatgpt.com Documentation | NestJS - A progressive Node.js frameworkNest is a framework for building efficient, scalable Node.js server-side applications. It use..

TypeScript/Nest.js 2025.11.15

TypeScript + Swagger 개발 환경 자동화: 디버깅용 Swagger 자동 실행

기존 c# ASP.NET Core를 사용하다가 Nest.js를 사용하고 있는데 제가 개인적으로 가장 불편하게 생각하는게 하나가 있습니다.그건 바로..닷넷 코어 비주얼 스튜디오에서는 디버깅을 시작하면 바로 스웨거 브라우저가 실행되고 디버깅이 끝나면 해당 브라우져가 같이 꺼집니다. 하지만 Nest.js에서 아래와 같이 스웨거를 사용할때 주소 창에 일일히 api-docs 같은 경로를 입력해야만 스웨거에 접속하는 경험을 하실겁니다.저는 원래 닷넷코어의 비주얼스튜디오에서 스웨거를 자동으로 띄워주는 환경에 익숙해져서 그런진 몰라도 저렇게 일일히 치는게 상당히 귀찮습니다..그래서 Nest.js로도 닷넷코어의 스웨거 자동 띄우기를 구현하고자합니다.방법은 아주간단합니다.1.launch.json 설정launch.json을..

TypeScript/Nest.js 2025.11.11

Nest.js 라이프사이클 완전 정복 시리즈 - 모듈 초기화 단계(Initialization Phase)

Nest.JS를 사용하다보면 서비스나 모듈이 언제 생성되고 언제 실행되는지 모를때가 있습니다. 그런 경험이 있다면 Nest.js의 라이프 사이클을 잘 모르기 때문일거라 생각합니다.그렇다면 과연 Nest.js의 라이프 사이클이 무엇이며 어떻게 동작하는지 또 어떠한 과정이 있는지를 이번 시리즈를 통해서 알아보겠습니다.Nest.js의 라이프 사이클 3단계Nest.js는 내부적으로 아래와 같은 생명 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1.초기화 페이즈(Initializing Phase)2.실행 페이즈 (Running Phase)3.종료 페이즈(Terminating Phase)그 중에서 오늘 확인하면서 알아볼 단계는 초기화 단계 입니다.위의 각 단계마다 동작하는 훅들이 서로 다르므로 이것에 대해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ypeScript/Nest.js 2025.11.10

Docker 컨테이너 종료 시 Nest.js가 바로 꺼지는 이유 enableShutdownHooks / SIGTERM

도커 컨테이너 안에 nest.js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고 있을때 컨테이너를 멈추게되면 nest.js의 안의 프로세스는 모든 작업이 끝마쳐지지 않고 종료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오늘은 이와 관련한 설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우선, Dokcer 컨테이너 종료시에 기본적으로 10s 의 프로세스가 멈출 대기시간이 주어집니다. 이 시간안에 프로세스가 끝나거나 하면 문제가 되지않겠지만 마냥 그렇게 일이 수월하게 풀리진 않습니다.stop_grace_period 해당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경우에는 도커 컴포즈의 stop_grace_period 설정을 기호에 맞게 지정해주면 됩니다.stop_grace_period: 30s해당 설정의 경우에는 공식적으로 최대시간이 딱히 정해져 있지않아서 프로젝트의 설정, 환경에 맞게..

TypeScript/Nest.js 2025.10.27
반응형